TAG Clouds

New Postings

  • 어떤 사람은 자유를 갈망하며 죽어가고, 어떤 사람은 자유에 지쳐 쓰러진다.
    - 무명 씨
조회 수 5428 추천 수 14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되어 → 돼'에 대한 총정리

'돼'와 '되'의 차이에 대한 설명은 지식인에 참 많습니다.
'되어'의 준말이 '돼'라는 것은 많이들 알고 계시지만 '되어'에서 '-어'는 어디에서 온 것이며, '돼'와 '되'의 근본적인 차이가 무엇인지는 밝히지 않고 그저 상황에 따라 어떻게 쓰면 되는지에 대해서만 말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돼'와 '되'의 그 근본적 차이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고자 합니다.


'돼'는 '되어'의 준말입니다.
기본형은 '되다'입니다.
> 되다 ㅡ> 되(어간) + 다(어미)

1.
그러니 다른 말이 붙으려면 어간 '되'에 붙게 됩니다.
> 되 + 고 ㅡ> 되고
> 되 + 니까 ㅡ> 되니까
> 되 + 지 ㅡ> 되지
> 되 + 면 ㅡ> 되면

위의 낱말이 '되'가 아니라 '돼'라면 '되어'를 넣으면 말이 되겠죠?
'돼'는 '되어'의 준말이니까요. 한번 넣어 봅시다.
> 돼 + 고 ㅡ> 되어 + 고 ㅡ> 되어고[X]
> 돼 + 니까 ㅡ> 되어 + 니까 ㅡ> 되어니까[X]
> 돼 + 지 ㅡ> 되어 + 지 ㅡ> 되어지[X]
> 돼 + 면 ㅡ> 되어 + 면 ㅡ> 되어면[X]

전부 어색하지 않습니까? '어'가 들어가지 않아도 될 자리에 쓸데없이 '어'를 넣었으니 말이 어색한 건 당연합니다.

2.
어간 '되'에 '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오면 '되어'가 되고 이것이 줄어서 '돼'가 되는 것입니다.
> 되 + 어서 ㅡ> 되어서 ㅡ> 돼서
> 되 + 어야 ㅡ> 되어야 ㅡ> 돼야
> 되 + 었다 ㅡ> 되었다 ㅡ> 됐다

# '되어서'와 '되어야'에서 '서, 야'는 단독으로 쓰이지 않습니다.

어간의 끝 음절 모음이 'ㅏ/ㅗ'일 때는 앞에 '아'가 오고
> 막(ㅏ) + 아서/아야 ㅡ> 막아서/막아야
> 보(ㅗ) + 아서/아야 ㅡ> 보아서/보아야 ㅡ> 봐서/봐야

어간의 끝 음절 모음이 'ㅏ/ㅗ' 이외일 때는 앞에 '어'가 옵니다.
> 먹(ㅓ) + 어서/어야 ㅡ> 먹어서/먹어야
> 굶(ㅜ) + 어서/어야 ㅡ> 굶어서/굶어야

그러므로 어간 '되'는 모음이 'ㅣ'로 끝났으므로 '어'가 옵니다.
> 되(ㅣ) + 어서 ㅡ> 되어서 ㅡ> 돼서
> 되(ㅣ) + 어야 ㅡ> 되어야 ㅡ> 돼야

참고로, '가다'와 '서다'의 경우는
> 가(ㅏ) + 아서/아야 ㅡ> 가아서/가아야
> 서(ㅓ) + 어서/어야 ㅡ> 서어서/서어야

이처럼 받침이 없는 어간의 끝 음절 모음과 어미의 '아/어'가 겹칠 때에는 어미가 줄어들게 됩니다.
> 가아서 ㅡ> 가(아)서/가(아)야 ㅡ> 가서/가야
> 서어서 ㅡ> 서(어)서/서(어)야 ㅡ> 서서/서야

결론은 '되서, 되야'란 말은 없습니다.
어간 '되'에 '어서/어야'가 붙고 반드시 '되어서/되어야'의 준말인 '돼서/돼야'라고 써야 합니다.

> 되 + 어서 ㅡ> 되어서 ㅡ> 돼서
> 되 + 어야 ㅡ> 되어야 ㅡ> 돼야

'잘되다'도 마찬가지입니다.
> 잘되 + 어서 ㅡ> 잘되어서 ㅡ> 잘돼서 좋겠다.
> 잘되 + 어야 ㅡ> 잘되어야 ㅡ> 잘돼야 할 텐데..

어간 '되' 다음에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 '었(과거),겠(미래)'이 올 수 있습니다.
이 중 '었'이 올 적에는 '되었'의 준말로는 '됐'을 씁니다.

> 되 + 었 + 다 ㅡ> 되었다 ㅡ> 됐다
> 되 + 었 + 거든 ㅡ> 되었거든 ㅡ> 됐거든
> 되 + 었 + 으니까 ㅡ> 되었으니까 ㅡ> 됐으니까
> 되 + 었 + 든(지) ㅡ> 되었든(지) ㅡ> 됐든(지)

3.
다음으로 종결할 때의 형태를 봅시다.

> 지금 가도 돼.

이때 '돼'가 맞을까요?
'돼'는 '되어'의 준말이라고 했으니까 대신 '되어'를 넣어보죠.
> 지금 가도 되어.

좀 어색하지요? 하지만 맞는 말입니다.
왜냐하면 종결할 때는 어간만 써서 종결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 얼른 밥 먹어.
> 나중에 보아. ㅡ> 봐.

위의 낱말들을 어간만 써서 종결한다면
> 얼른 밥 먹. [X]
> 나중에 보. [X]

어색하지요?
그러니까 문장을 종결할 때는 반드시 종결 어미를 써야 합니다.
> 지금 가도 되 + 어. ㅡ> 되어. ㅡ> 돼.

위에서 설명했듯이 '되'만으로 끝나는 경우는 없습니다.
반드시 종결어미를 '되'에 붙여서 끝내야 합니다.
> 가도 돼. (되+어)
> 가도 되지. (되+지)

명사에 '되다'가 붙어 이루어진 동사를 '되다형 자동사'라고 하는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되'로 끝나는 경우는 없습니다.

기본형 '기대되다'의 예 ㅡ> 기대되(어간) + 다(종결어미)
> 기대되 + 어 ㅡ> 기대되어 ㅡ> 기대돼
> 기대되 + 었 + 어 ㅡ> 기대되었어 ㅡ> 기대됐어
> 기대되 + 지 ㅡ> 기대되지
> 기대되 + 었 + 지 ㅡ> 기대되었지 ㅡ> 기대됐지
> 기대되 + 었 + 지요 ㅡ> 기대되었지요 ㅡ> 기대됐지요
ㅡ> 기대됐죠

참고로,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가다'와 '서다'의 경우에는
> 가 + 아 ㅡ> 가아 ㅡ> 가
> 서 + 어 ㅡ> 서어 ㅡ> 서

이처럼 종결어미 없이 '가,서'만 쓴 것이 아니라 원래는 '가아, 서어'인데 어간의 끝 음절 모음과 어미의 모음이 중복되므로 어미가 생략된 것입니다.

4.
종결할 때의 형태 중에 자주 틀리는 것을 봅시다.

> 그러면 안되요.

위 말은 맞게 쓴 걸까요?
언뜻 맞는 것 같지만 틀렸습니다.
> 그러면 안돼요. [O]

기본형은 '안되다' ㅡ> 안되(어간) + 다(어미)

> 안되 + 어요 ㅡ> 안되어요 ㅡ> 안돼요

# '요'는 종결어미로 쓰이지 않습니다. 정확하게는 보조사라고 하는데 설명하자면 기니까 생략하고, 기억할 것은 종결어미가 아니므로 어간 뒤에 바로 붙지 못하고 그 앞에 종결어미가 온다는 것입니다.

> 안되(어간) + 어(종결어미) + 요(보조사)
ㅡ> 안되어요 ㅡ> 안돼요

> 막다 ㅡ> 막(어간) + 아(종결어미) + 요(보조사)
ㅡ> 막아요

이처럼 '어요/아요'는 본래 '어미(어/아) + 보조사(요)'이지만, '어요, 아요'를 통째로 하나의 종결어미로 봅니다.

다음은 맞았을까요?
> 하면 안되죠?

'안되죠'를 원형태로 바꾸면
> 안되죠? ㅡ> 안되지요?

위에서 '요'는 보조사로 종결어미로는 쓰이지 못한다고 했습니다.
때문에 앞에 종결어미가 필요한데 '지'가 왔습니다.
> 안되(어간) + 지(종결어미) + 요(보조사)
ㅡ> 안되지요 ㅡ> 안되죠

그렇기 때문에 '안되죠'는 맞게 쓴 것입니다.

만약 '안돼죠'라고 쓴다면
> 안돼죠 ㅡ> 안되어죠 ㅡ> 안되어지요
ㅡ> 안되(어간) + 어 + 지(종결어미) + 요(보조사)

종결어미로 쓰이는 '지'는 어간 뒤에 바로 붙습니다.
> 먹 + 지 ㅡ> 먹지
> 굶 + 지 ㅡ> 굶지
> 가 + 지 ㅡ> 가지
> 서 + 지 ㅡ> 서지

때문에 '안되어지요'에서 '어'는 불필요하게 들어간 것입니다.
> 안되어지요 ㅡ> 안돼지요 ㅡ> 안돼죠 [X]
> 안되지요 ㅡ> 안되죠 [O]

참고로, '었/았/겠/시'등 시제나 높임을  나타내는 어미
(선어말어미)는 종결어미 앞에 올 수가 있습니다.

> 안되 + 었 + 어 ㅡ> 안되었어 ㅡ> 안됐어
> 안되 + 었 + 지 + 요 ㅡ> 안되었지요 ㅡ> 됐지요 ㅡ> 안됐죠
> 안되 + 겠 + 지 + 요 ㅡ> 안되겠지요 ㅡ> 안되겠죠
> 안되 + 시 + 지 + 요 ㅡ> 안되시지요 ㅡ> 안되시죠

# '지요'도 '어요'처럼 원래는 종결어미 '지'에 보조사 '요'가 합쳐진 형태지만 통째로 하나의 종결어미로 봅니다.

# '안 돼(요)'와 '안돼(요)'처럼 띄어 쓰느냐 붙여 쓰느냐에 따라 그 의미상의 차이가 있지만 여기서는 '되'와 '돼'의 차이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의미상 구분은 하지 않고 '안돼(요)'처럼 붙여쓰는 경우만을 보았습니다.
'안 되지요'와 '안되지요'도 마찬가지입니다.

# '잘되다'도 같게 생각하면 됩니다.
> 잘되다 ㅡ> 잘되(어간) + 다(어미)

> 잘되 + 어요 ㅡ> 잘되어요 ㅡ> 잘돼요
> 잘되 + 었 + 어 ㅡ> 잘되었어 ㅡ> 잘됐어
> 잘되 + 었 + 으니까 ㅡ> 잘되었으니까 ㅡ> 잘됐으니까
> 잘되 + 지요 ㅡ> 잘되지요 ㅡ> 잘되죠
> 잘되 + 었 + 지요 ㅡ> 잘되었지요 ㅡ> 잘됐지요 ㅡ> 잘됐죠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그렇다면 한가지,
왜 사람들이 '하'를 넣어서 어색하지 않으면 '되'를 '해'를 넣어서 어색하지 않으면 '돼'를 쓰면 된다고 하는 걸까요?

그것은 기본형 '하다'는 어간만 쓰일 때의 '하'와 어간 '하'에 '여'가 붙은 형태 '하여'의 준말인 '해'가 그 발음상으로 명확하게 구분이 되기 때문입니다.

'되'와 '돼'는 발음으로는 그 차이를 구분할 수 없습니다.
때문에 그 성분을 분석하지 않으면 어느 것을 쓰는 게 맞는지 헷갈리므로, '되/돼'와 문법적 활용이 거의 같은 '하/해'를 대신 넣어서 어간만 쓰인 건지( 하 ㅡ> 되 ),  준말이 쓰인 건지( 해: 하여 ㅡ> 돼: 되어 )를 쉽게 구분하라는 것입니다.

예) 괄호 안에 '되'가 맞을까요? 아니면 '돼'가 맞을까요?
이럴 때 '하'나 '해'를 넣어서 '하'가 어색하지 않으면 '되'
'해'가 어색하지 않으면 '돼'를 쓰라는 것입니다.

(  )지 ㅡ (하)지 ㅡ('하'가 적절)ㅡ> 되지
(  )네 ㅡ (하)네 ㅡ('하'가 적절)ㅡ> 되네
(  )서 ㅡ (해)서 ㅡ('해'가 적절)ㅡ> 돼서
(  )요 ㅡ (해)요 ㅡㅡㅡㅡㅡㅡㅡㅡ> 돼요
잘(  )요 ㅡ 잘(해)요 ㅡㅡㅡㅡㅡㅡ> 잘돼요
잘(  )야 ㅡ 잘(해)야 ㅡㅡㅡㅡㅡㅡ> 잘돼야
기대(  ) ㅡ 기대(해) ㅡㅡㅡㅡㅡㅡ> 기대돼
안(  )요 ㅡ 안(해)요 ㅡㅡㅡㅡㅡㅡ> 안돼요


이상입니다.  
(출처 : ''되어 → 돼'에 대한 총정리' - 네이버 지식iN)

Sunny Funny

Dreamy의 선별된 재밌는 이야기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882 이름 개그. 대박 웃김. file Dreamy 2007.03.01 8631 181
881 생일로 알아보는 사랑점.. 천사 2003.01.03 10787 177
880 교과서 말투 쓰는 제 친구 Dreamy 2007.08.09 7061 176
879 어머니 개그 Dreamy 2007.08.05 6380 171
878 상사병이란 2 ★웅제★ 2003.07.02 11269 170
877 편의점의 도둑소년 Dreamy 2007.05.08 7870 165
876 참으로 황당한 신문기사 file Dreamy 2007.07.24 7615 164
875 낚시질의 극치, 여자친구의. file Dreamy 2007.08.17 6973 162
874 여자한테 차였을때 장르별반응 Dreamy 2007.05.08 9825 162
873 ★귀여운 사랑고백★ 천사 2003.01.03 10166 161
872 2006년의 기이한 과학 10대뉴스 file Dreamy 2007.01.22 8820 160
871 우리가 잘 모르는 사실들 Dreamy 2007.01.09 7713 160
870 김여사, 운전하다. file Dreamy 2007.04.30 7729 159
869 ┗ 일본인들이 본 디워 예고편 Dreamy 2007.08.04 6376 158
868 내가 제일 좋아하는 말.. 천사 2003.01.03 10389 156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 59 Next ›
/ 59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