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Clouds

New Postings

  • 인간은 언젠가 죽을 것을 알기 때문에 진짜 느긋할 수 없다.
    - 우디 앨런

조회 수 10615 댓글 0

한참 어렸었던 중고등학교 시절에,
유영석을 꽤나 좋아하고 즐겨 들었었습니다.
'푸른하늘'과 'WHITE' 앨범도 사 모으고 자주 듣고 했었는데요.
그중에 네모의 꿈이라는 노래가 있었죠. 다들 기억하실 겁니다.


저도 엄청 즐겨 들었습니다. 그 가사내용도 어찌나 와닿던지,
둥글게 태어나고 둥글게 살아가야할 사람들의 본성이 네모나게 살게 강요받고 있는건 아닌지
유치하지 않게 쉽게 넘어갈 수 없는 부분들을 참 잘 집어냈구나 생각했었죠.

그런데 저 마지막 부분이 잘 이해가 가지 않더라구요.
'그건 네모의 꿈일지 몰라'라는 부분이요.
아 저게 무슨 말일까, 제목까지 붙여놓은것 보면 분명 중요한 뜻이고,
가사중에 거의 유일하게 의미를 집약하고(나머지 가사는 다 네모나다는 말 뿐이죠)
있는 부분인데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더군요.

그래서 그냥 '가사 쓰다가 말이 막히니까 상징으로 때우고 가는 구나~' 생각하고 말았더랬죠.
제가 그때 보기엔 똑같아 보였던 미당 서정주 시인의 '동천(冬天)' 처럼요

"내 마음 속 우리 님의 고운 눈썹을 / 즈믄 밤의 꿈으로 맑게 씻어서
하늘에다 옮기어 심어 놨더니 / 동지 섣달 날으는 매서운 새가 / 그걸 알고 시늉하며 비끼어 가네"


같이 '고도의 상징'(이라고 쓰고 '4차원'이라고 읽습니다. 아무 보는눈 없는 저한테는요. T.T) 기법으로
쓰여진 그런 부분이겠구나- 하고요.
자기만의 세계에서 쓴 비유를 모아 모아서 다시 그것만으로 은유의 은유를 만들어 버리는 그런 상징이요.
저같은 문외한 입장에서는 저 '고운 눈썹'이 그것도 겨울에 달을 보며 애처로운 마음으로 생각나는 것인지,
아니면 스토커 같이 몰래 집에가서 눈썹을 한가닥 훔쳐온 것인지는 알 수 없는 겁니다.
비껴가는 새가, 내 님에 대한 애처로운 마음을 알고 달을 비껴 간 것인지,
스토커를 잡으러 온 짭새인지 제가 어떻게 압니까? 안그렇습니까? 설명도 안해줍니다.
(이 시 해설을 읽어보면 가관입니다. 삼세인연? 그런게 여기 어디 나옵니까.)

http://www.dreamy.pe.kr/zbxe/1357 에 걸려 있는, 제가 쓴 시도 마찬가집니다.
마지막 부분은 거의 상징으로 폭주하고 있지요. 주제가 정리가 안된다는 뜻이 강하죠. ^^
정확하지는 않지만 그냥 그런 것도 있었다는 걸 부인할 수 없네요.

다시 네모의 꿈으로 돌아와서, 이 네모의 꿈 마지막 가사도,
그냥 그렇겠거니~ 정리가 잘 안됐거나, 내가 이해하지 못하는 아주 깊은 뜻이(삼세인연 같은)
있으려니, 생각하고 잊어버렸습니다.

그런데 얼마전 TV 토크쇼에 유영석이 나와서 우연히 네모의 꿈 이야기를 하더라구요.
그리고 그 마지막 가사의 의미에 대해 들었습니다.
그리고 충격(^^)에 휩싸였지요~
유영석 자신도 심지어 네모의 꿈이 문학책에도 나온걸 보고 놀랐다는군요.
유영석이 말한 네모의 꿈의 원래 내용은 이렇답니다.

지구를 침략해 정복을 노리는 외계인이 있습니다...

하하하하하(쓴웃음^^)  여기까지 할까요?
계속 해 보겠습니다.

그 외계인들은 모든 것이 네모난 외계인인 겁니다.
별도, 생김새도, 사용하는 것도, 물건들도... 모든 게 다 네모난 외계인인데,
지구에서 살 생각을 하니, 지구는 모든게 다 둥근것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별도 돌도 꽃 나무 할것 없이 모두 둥글고, 각진 것이 잘 없죠.
그래서 그 외계인들은 밤마다 사람들에게 전파를 보내고 꿈을 꾸게 합니다.
바로 네모난 것들을 만들고 사용 하는 !!! 그 꿈입니다.
그렇게 해서 사람들이 다 네모난 것만 쓰게 한 겁니다.
자신들의 지구 정복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요!
그것이 바로 '네모의 꿈'의 진실입니다.


이걸 듣고, 컥 했습니다.
아, 인간성의 상실, 각박한 세태, 그런 것들이 별 상관은 없었구나.. 하구요.
그리고 너무 기발한(이라고 쓰고 '4차원'이라고 읽습니다)
작자의 생각에 다시 웃음을 지었습니다.

여러분은 이 노래가 그런 뜻인줄 아셨나요?

[ 관련 글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15 올해도 심었습니다 file 2005.06.14 8722
114 아주 가관입니다. file 2009.04.07 8722
113 때아닌 음악에 대한 관심 2009.10.15 8723
112 개발자에게 테스트를 하라고 시키는 것은.. 2009.11.28 8727
111 교육중에.. file 2005.01.31 8768
110 매실주가 다 익었습니다~ file 2005.09.12 8769
109 우리말 바른말 고운말~ 1 file 2006.02.13 8783
108 S/W 프로젝트의 생산성을 올리려면 2010.03.02 8818
107 신학생회관 file 2006.07.16 8834
106 사람을 사랑한다는 건. 2005.05.20 8835
105 결혼식 사회를 보았답니다. 2007.11.08 8840
104 '호밀밭의 파수꾼'과 '호밀밭의 포수' file 2003.01.22 8849
103 올해도 나팔꽃이 피었습니다. file 2005.10.17 8856
102 가장 먼 거리 file 2004.11.08 8860
101 하늘고추를 심었었습니다. file 2008.07.16 8873
Board Pagination ‹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21 Next ›
/ 2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