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Clouds

New Postings

  • 건강은 유일무이의 보배이며, 이것을 얻기 위해서는 생명 자체까지 내던진다.
    - 몽테뉴
조회 수 4075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경상도 방언은 성조 체계를 가집니다. 경남 방언은3단체계(고/중/저) 경북 방언은2단체계(고/저)를 가지고 있다고들 하는데요. 관련해서 블로그를 보다가 재밌는 걸 봤습니다.

밑은 부산 방언입니다. 경남 방언의 특징이라고 보시면 되겠지요.

 

이름에 붙는 성조의 예)

 

이1승3만1

윤3보3선2

박1정3희1

최1규3하1

전1두3환1

노1태2우2

김1영2삼2

김1대2중2

노3무3현2

이1명3박1

 

경남의 화자라면 저렇게 저/중/고를 확연하게 붙여서 발음한다고 하는군요.

1이 저조, 3이 고조, 2가 중조입니다.

 

진짜 그런 듯-_-;

 

외래어 성조의 예로는

 

아1세3트2 알1데2히3드1

에1스2컬3레3이3터1

아1이2팟2

스1파2게3티1

해3커2스1 토2플2

 

2^2 (이1의2 이1승2)

2^e (이1의2 이3이2승2)

e^2 (이3이2의2 이1승2)

e^e (이3이2의2 이3이2승2)

 

경남 방언은 위의 동음이의어를 모두 구별 가능합니다.

 

그외에 표준어에 없는 종결어미의 구분도 있다는군요. 블로그를 인용해 보겠습니다.

 

 

............................

 

종결어미

 

어설픈 경상도 사투리를 들통나게 하는 가장 흔한 실수가 바로 의문문의 잘못된 종결어미 사용이다. 경상도 방언에서는 반말의 경우 의문문이~나? 또는~노? 로 끝나게 되어 있다. 표준어의~니? 또는~어? 에 대응되는 어미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나" 와"~노" 는 쓰이는 곳이 정해져 있어서 절대"~나" 쓸 곳에"~노" 를 쓴다거나"~노" 쓸 곳에"~나" 를 쓰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나" 는 예/아니오 로 대답하는 질문, 즉 영어의Do 로 시작하는 질문의 어미로 사용되며,

"~노" 는 그 외의 질문, 즉 영어의Who, When, Where, What, Why, How 로 시작하는 질문의 어미로 사용된다.

 

표준어에서는 이러한 구분이 없기 때문에 경상도사투리를 흉내내는 타 지방사람들이 쉽게 틀리는 부분이기도 하다.

 

"~나?" 의 용법 "~노?" 의 용법

 

집3에1 가2나2 (집에 가니?) 어1데2 가3노1 (어디 가니?)

거3기1 없1나2 (거기 없니?) 와1 없2노2 (왜 없니?)

밥2 무3ㄴ2나1 (밥 먹었니?) 누1구2랑2 무2ㄴ1노1 (밥 누구랑 먹었니?)

오2기3ㄴ1 오2나2 (오긴 오니?) 언1제2 오3노1 (언제 오니?)

 

표준어에서는 동일한 두 문장이 경상도 방언에서는 노/나의 차이로 인하여 구별이 됨을 알 수 있다. 아래 예를 보자.

 

예) 어디 아프니?

 

상황1 상황2

질문: 어디 아프니? 질문: 어디 아프니?

대답: 네/ 아니오 대답: 배가 아파요.

 

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문장은 두 가지 뜻을 내포하고 있는데,

이 질문에 예/아니오로 대답한다면"어디"는somewhere의 의미가 되고,

아픈 부위를 말하면"어디"는where의 의미가 된다.

 

이 두 경우가 경상도 방언에서는 어미의"~노"와"~나"로 인하여 쉽게 구별될 수 있다.

 

상황1 상황2

질문: 어2디1 아1프3나1 질문: 어1디2 아2프3노1

대답: 네/아니오 대답: 배가 아파요

 

의문문 반말 종결어미인 나/노 를 제외한 다른 어미들은 모두 표준어와 대응관계에 있어서 그리 복잡하게 따질 필요가 없다.

주의할 점: 의문문이라 할지라도 모든 종결어미의 성조는1 또는2이므로 물음표가 있더라도 절대 끝을 올려서는 안 된다.

 

표준어 경상도방언

 

맞잖아 맞3다2 아1이2가1

오세요 오2이3소1

추우ㄴ가요? 춥3는3교1

집이죠? 집3이2지2예2

집이죠. 집3이2지2예1

집이요? 집3이2예2

집이요. 집3이2예1

봤지? 바3았3제2

 

===============================================================

 

경상도 사투리 화자들이 유독 표준말 전환이 더딘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는데,

그게 요 성조 때문이라고 하네요.

재밌어서 퍼왔습니다.-

  • Dreamy 2013.06.24 11:16
    ■ <사투리의 눈물>에 나오는 표현입니다. 몇 개나 아시나요?

    초빼이, 미자바리, 가시나, 머스마, 지침, 짚다, 지름, 정개이, 곰패이, 놈패이, 잔채이, 지패이, 궁디, 문디, 간띠, 정구지, 쌍디, 주디,

    짜치다, 조푸, 새촙다, 앵꼽다, 까리방상하다, 우사시럽다, 헐타, 시피보다, 식겁(시껍), 핀하다, 대끼리, 아리까리하다, 소풀

    아레께, 모티, 개비, 선낱, 돔배기, 무까끼하다, 파이다

    한거석, 억수로, 허들시리, 천지삐까리, 몽창시리, 쌨다, 쌔삐맀다, 대끼리, 한빨띠, 대빠이,

    개미가 있다, 씨부리다, 고마, 앵간이

Sunny Funny

Dreamy의 선별된 재밌는 이야기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777 챠챠. 거절의 기술 file Dreamy 2006.06.19 6255 102
776 창조론자들이 진화론을 비난할 때 사용하는 틀린 주장 Dreamy 2004.10.02 6807 101
775 창의력 돋는 사진들 file Dreamy 2011.12.05 5629 0
774 창의력 돋는 광고들 file Dreamy 2010.09.07 7482 0
773 참으로 황당한 신문기사 file Dreamy 2007.07.24 7735 164
772 참 와닿는 &lt;신입생과 복학생&gt; ★웅제★ 2003.04.22 6177 129
771 착시현상 모음 2 file Dreamy 2006.06.19 7116 99
770 차범근에 대해 우리가 잘 모르는 것 Dreamy 2006.06.15 6385 102
769 차라리 모르는 것이 나은 잡지식[2ch] 2 Dreamy 2009.05.08 10398 0
768 짱구아빠의 명언 1 Dreamy 2011.09.27 8271 0
767 짧고 기묘한 괴담들 모음 (웃대 펌) secret Dreamy 2009.07.07 0 0
766 짤방 이미지 모음1 file Dreamy 2007.03.01 13343 121
765 짠한 네이트 댓글 file Dreamy 2011.12.05 5650 0
764 진화~ 1 file Dreamy 2004.12.06 6562 126
763 진정한 멜라민 용자 ㅎㅎㅎ 기쁜날 2008.10.15 7124 0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59 Next ›
/ 59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